꿈을 실현해 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래교육연구소입니다.
![]() |
청소년 논문 "발상의 전환" 논문 공모중 | ||||
---|---|---|---|---|---|
![]() |
관리자 | ![]() |
2018-10-05 | ![]() |
1038 |
수준 높은 논문과 비평, 美 대학 입학 사정에 매우 유리 쓰기 교육 목표는 공동체에서 소통할 수 있는 글쓰기 양식을 습득하고, 쓰기 혹은 표현 행위를 통해 내적으로 성찰하고 성장해 나아가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논문이라는 형식의 글을 쓰는 과정은 지식을 아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는 지식을 연구 문제화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증명하는 과정이다. 논문을 쓰기 위해 준비하고, 목차 쓰고, 주제와 방향을 잡는 과정은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 과정을 통해 학술 연구 활동을 한 학생과 하지 않은 학생의 학문적 성장의 격차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일 것이다. 한때 청소년 소논문 쓰기가 유행한 적이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학생부에 학생이 쓴 논문에 대해 언급을 할 수 없게 되자 논문 쓰기의 유행이 없어졌다. 입시 제도에 따라 학생을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 수단이 생기기도 사라지기도 하는 것이 현실이라 허무하지만 논문 쓰기는 입시 제도와 상관없이 학생의 가능성과 창의성을 발전시키는 수단이란 점은 변함없다. 우리나라의 입시와는 상관없이 해외 대학 특히 미국 대학 진학할 때는 논문 쓰기가 여전히 경쟁력 있는 스펙이 된다. 굳이 완전한 형식을 갖춘 논문이 아니라도 학생이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한 편의 에세이를 완성한다면 이는 학생의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그래서 발상의 전환에서는 학생의 이러한 에세이나 논문을 발표할 수 있는 장을 열어주고 있다. <발상의 전환> 홈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그동안 게재된 논문들을 읽어볼 수 있다. 지난 1월에는 8호 논문이 발상의 전환 홈페이지(www.journalcct.org)에 게재되었다. 온라인 게재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지금도 8호 논문 공모가 가능하다.
1. ‘발상의 전환 편집위원회’는 위원장 이종서 현 대전대 총장(전 교육부 차관), 부위원장 박원식 전 한국은행 부총재를 비롯하여 각계 전문가로 구성됐습니다. 2. 추천받은 논문과 심사를 마친 논문은 편집위원회의 최종 심사를 거친 후 9월 말 ‘발상의 전환’ 홈페이지(www.journalcct.org)에 게재됩니다. 3. 문의 및 상담 : 전화 1577-6683, 메일 tepikr@gmail.com 자세한 내용은 ‘발상의 전환’ 홈페이지( www.journalcct.org)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1∼4호 논문 게재 학생의 진로 : 이재희(스탠포드대 수학과), 황지환(듀크대), 이수현(밴더빌트대), 하정주(워싱턴 앤 리 칼리지), 이창헌(유펜대), 김다운(고려대), 김민수(고려대 국제학부), 정해지(서울대, 디킨슨대 동시 합격), 정예린(연세대 국제학부) 등
|
|||||
![]() |
7-1호.jpg | ||||
![]() |
월 수백만 원 SAT 학원 대신 온라인 무료 강좌 활용하기 | ||||
![]() |
내년 1월에 미국 고등학교로 유학 가고 싶어요…크리스찬사립 |